Page 77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2월호 (Vol 519)
P. 77

기에 놀러 와서 역시 기문을 남기셨는데                      으나, 그곳에 불이 나는 바람에 학생들이

               ‘노니는 물고기가 적당한 장소를 얻어서                      더 이상 그곳에 거주하지 않게 되었다고
               큰 놈은 거의 반 자쯤이나 된다.’ 하였으                    한다.

               니, 그 수가 한두 마리에 그치지 않았음

               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오씨의 기문에 또
               이르기를 ‘예전에 물고기 한 쌍이 있었

               는데, 백 년 전에 물새가 그중 한 마리를

               엿보아 물고 숲을 지나가다가 갑자기 천
               둥 벼락을 맞았답니다.’ 하였는데 이 말

               은 망령된 것이다. 가령 부처님의 신령함

               이 있다고 하더라도 어찌 물새가 물지 못
               하도록 하지 않고 꼭 물고 가기를 기다린

               뒤에야 천둥과 벼락이 치도록 하였겠는
               가?”

               -유의건, 「불지설」



               불지에 사는 물고기 설화의 진가眞假에 대

               하여 대체로 중립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
                                                          1980년대 이전 고시 준비생들의 거처 흔적
               지만 유의건은 그것이 합리성에 어긋난

               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런 시각의

               차이는 설화의 합리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개인차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불지에 대한 후일담
               불지에서 그다지 멀지 않은 양산시 하북

               면 용연 마을에서 태어나서 거주하는 이

               세열(65세) 씨에 의하면, 불지 뒤쪽 바위
               의 기운이 세다는 믿음에 따라 그 기운                      성범중           울산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에서 한
                                                          국한문학을 공부하고 울산대에서 고전문학과 한문학을 가
               을 받고자 1980년경까지 고시를 준비하                     르쳤다. 한국한시학회장과 울산교육연구회장을 역임했다.
                                                          저ㆍ역서로 『역주 목은시고』(전12책, 공역), 『한시로 여는
               는 학생들이 공부하던 장소로 사용되었                       아침』, 『한시 속의 울산 산책』, 『온계시초』(역주) 등이 있다.



                                                                                           77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