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2월호 (Vol 519)
P. 73
“금수는 석굴 속에 있는데 너비가 몇 칸 근원은 솟아나지 않고 저절로 떨어지는
가량이었다. 앞쪽에는 구멍이 창문처럼 데 마시면 매우 맑고 차며, 물은 가물어
있고, 물 표면은 황금빛이 휘황찬란하여 도 넘치거나 줄어들지 않는다. 바위 속에
눈을 어지럽혔다.” 쇠가 있고 쇠 속에 액체가 있으며, 액체
-정시한, 『산중일기』 가 쌓여 못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못의
물에 금빛이 있게 된 것은 이치가 참으로
“이[불지암]로부터 서쪽으로 10보를 가 그러한 것이다.”
니 바위 아래에 남쪽을 향한 구덩이 하 -이양오, 「중유원적산기」
나가 있으니 참한 석실이었다. 사람 수십
명이 들어갈 수 있고, 지척(指尺, 손가락 “그 구멍에는 물이 있는데 수원이 있지도
을 기준으로 삼은 자로 19.5cm 내외) 열 않고 흐르지도 않았다. 다만 방울방울 아
개를 세울 만하였다.” 래로 떨어지는 것이 보였으니 이른바 불
-오희창, 「유불지기」 지였다. 땅에 가득하게 노란 금이 깔린
듯하여 매우 괴이하였다.”
“(암자 터의) 서쪽 끝에 바위 구멍이 있는 -남경희, 「재유원적산기」
데 너비가 대여섯 자이고 높이가 서너 자
였다. 가운데에 샘물이 있는데, 근원이 이처럼 불지의 형상에 대한 묘사는 따로
없고 새는 데가 없는데도 장마에 불어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만큼 구체적이다.
지 않고 가뭄에 마르지도 않으니, 이곳이 그 기이한 모습을 목격한 이들은 각자의
불지였다. …… 해가 한낮이 되면 황금색 시각에서 그 신비로움을 그려내고 있다.
의 액즙이 바위 구멍에서 나와 굴 가운데 특히 황금빛 액체인 금수의 빛깔과, 항상
에 퍼져 가득하다가 해가 질 때쯤에 비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량에 관심이 많았다.
소 걷히므로 이 때문에 금수라고도 하였
다.” (2) 금수와 그 효능
-도영하, 「유통도사기」 불지에 고인 황금빛 액체인 금수는 빛깔
뿐 아니라 탁월한 효능의 약수로 알려져
“그 산은 깎아지른 듯 천 자 높이로 서 있 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큰 바위였다. 못도
바위 가운데서 나온 물인데, 그 빛깔이 “맑은 샘물이 석실 가운데서 생겨나서 거
아래쪽은 옥색이고 위쪽은 금빛이다. 그 울 면 하나를 열고, 반 자 길이의 나무를
73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