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4월호 (Vol 521)
P. 28

율사 비문」, 월하 스님이 1993년에 쓴 「성암당性庵堂 대선사 비문」, 일타(日
           陀, 1929-1999) 스님이 쓴 「고경 법전古鏡法典 대종사 비문」, 전 건국대 이영

           무(李英茂, 1921-1999) 교수가 1983년에 쓴 「경봉 대종사 비문」, 전 동국

           대 서돈각(徐燉珏, 1920-2004) 총장이 쓴 「벽안당碧眼堂 법인法印 대종사 비
           문」(1988년 비 건립), 월운(月雲, 1928-2023) 스님이 2002년에 쓴 「동고

           당東皐堂 문성汶星 대종사 비문」, 각성覺性 스님이 2004년에 쓴 「노천당老天堂 월

           하月下 대종사 비문」, 상우祥牛 스님이 1994년에 쓴 「설암당雪巖堂 대종사 비
           문」, 덕민德旻 스님이 2018년에 쓴 「경하당鏡河堂 대선사 비문」, 상우 스님이

           2004년에 쓴 「청하당淸霞堂 대율사 비문」, 지관(智冠, 1932-2012) 스님이

           쓴 「운조당雲照堂 홍법弘法 대선사 비문」(1994년 비 건립) 등 주옥같은 비문들
           이 즐비하다.



           비문들을 통해 통도사의 근현대를 슬기롭게 이끌었던 스님들의 생애와 가

           르침을 파악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통도사에서 중

           요한 역할을 했던 성해 남거(聖海南巨, 1854-1927) 스님의 행장도 비문에
           자세하다. 39세에 승통僧統을, 51세에 총섭總攝을 맡아 근세 통도사에 새바람

           을 일으켰던 성해 스님은 두 가지를 강조했다. ‘사찰 수호’와 ‘수좌 외호外護’
           가 그것이다. 스님은 항상 다음과 같이 말했다. “수좌는 사람의 속눈썹과도

           같다. 속눈썹은 아무 쓸모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속눈썹은 아주 요

           긴한 것이다. 속눈썹이 없으면 먼지가 눈에 들어가 눈병이 생겨 온전하지
           않은 사람으로 여겨진다. 수좌가 없으면 부처님의 지혜로운 가르침의 등불

           이 단절되고 원만한 교단을 이룰 수 없다. 선의 가르침을 탐구하지 않는 스

           님들은 운수납자 뒷바라지에 정성을 다하는 것이 도리에 맞다.”



           비문은 느긋한 마음으로 읽어야 한다. 문학, 역사, 철학이 복합적으로 응축

           된 글이다. 압축된 구절이 많고 고사와 성어도 드물지 않게 등장한다. 제
           한된 빗돌에 새겨야 하기 때문이다. 용어와 어구도 쉽게 이해되지는 않는

           다. 글자 밖의 의미를 살피고 행간에 묻혀있는 암시를 찾아야 한다. 비문이





           28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