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4월호 (Vol 521)
P. 40
: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언설言說을 통해 법을 설하셨고,
형 \ 무 이를 통해 갈마가 이루어졌다. 즉, 계율은 행위 규칙이 아니라 수
행자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갈마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
서 에
속
다. 첫째는 법문을 듣고 감동하여 삶을 변화시키는 화교化敎, 둘째
는 의식을 통해 계체를 형성하는 재교齋敎다. 수계 의식, 점안 의식
을 등은 재교의 대표적인 사례다.
삶
계율을 지킨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윤리적인 제재가 아니라 수행자
변
화 키 는 시
가 자신의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고 성숙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수
계를 받을 때 계목戒目의 숫자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계를
어떤 마음으로 받아들이느냐이다. 보살계를 받을 때, 그 목적을 본
수
계 인을 제어하는 금기의 수단으로 삼는 것을 넘어서서 성불成佛을 위
한 실천으로 삼는다면, 계율은 더욱 깊이 새겨진다.
대승불교에서 계율을 수지하고 계체를 형성함은 매우 중요한 과정
이다. 율장에서는 계체를 무표색無表色이라 하여, 형상이 없는 법신法身
과 같다고 설명한다. 계체는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엄연히 존재하는 것이다.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