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3월호 (Vol 520)
P. 69
성의 정양현旌陽縣 현령을 역임한 일이 있 특히 그렇다. 다만 손오공의 머리에 씌워
어서 허정양이라고 불린다. 신비한 이적 진 긴고아의 표현이 다르다. 이탁오 비평
을 자주 행사하였으며 정명도淨明道 교파를 본의 삽화에는 손오공의 머리에 동그란
창설한다. 테가 분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에 비해
이상의 세 인물은 모두 도교의 유력한 교 용화전 벽화에는 삭발한 머리로 표현되
파를 창시한 교조에 해당한다. 이에 비해 어 있다. 원본을 잘못 독해한 것일까? 장
『서유기』에서 말하는 사대천사의 마지막 군의 위치를 옮기면서 권렴대장의 역할
신선인 구홍제는 좀 복잡하다. 주周나라 을 부여할 정도로 전체 『서유기』의 맥락
때 부구공浮丘公이라는 전설적 인물을 가리 에 빠삭(!)한 기획자, 혹은 화가가 원본을
킨다는 설, 도교 전진파의 도사인 구처기 오독했을 것 같지는 않다. 세상을 위해
丘處機와 그의 제자 홍제洪濟를 가리킨다는 비를 간구하는 주체가 삭발한 머리를 한
설 등이 엇갈리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거 불교의 스님이라는 점을 드러내기 위한
나 이들은 하늘과 세상의 가교 역할을 수 의도적 변형으로 볼 수 있는 이유가 충분
행하는 존재들로 신봉되었다. 그런 점에 하다. 오늘날까지도 사찰에서는 각 전각
서 옥황상제의 비서직을 수행하고 있다 의 기도에서 “비와 바람 순조롭고(雨順風
는 설정은 설득력이 높다. 그런데 용화전 調), 나라 태평하고 백성 평안하기(國泰民
의 벽화에서는 이들을 중심 화면에서 밀 安)”를 축원한다. 축원의 주체는 스님들
어내어 오른쪽의 좁은 벽면에 배치하면 이다. 이 사실을 강조해서 보여 주고 싶
서 인물도 셋으로 줄여 버렸다. 이에 따 지 않았을까? 불교가 사회적 존중을 받는
라 그 역할 또한 주변적 인물로 격하되어 시대에 대한 기원이 담긴 용화전의 벽화
버린다. 결과적으로 불교적 인물인 손오 라면 더욱 그렇지 않았을까?
공과 하늘의 최고신인 옥황상제 사이에
직거래가 이루어지는 장면이 구현된 것
이다.
•● 손오공의 형상 변형
손오공의 형상에도 약간의 변형이 가해
졌다. 일견 손오공의 형상은 원본의 그림
강경구 동의대학교 인문대학장, 동의지천교
양대학장, 도서관장 역임, 대한중국학회 회장 역임, 현재 동
을 최대한 모사한 것으로 보인다. 저고리
의대학교 명예교수,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부회장을 맡고
의 등주름과 옆트임, 발바닥의 표현 등이 있다.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