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3월호 (Vol 520)
P. 65

•●   용화전의 벽화와

                     이탁오 비평본 『서유기』의 삽화
               이번 회의 얘기는 용화전 동쪽 벽에 그

               려진 봉선군의 가뭄 이야기에 관한 것이

               다. 전체 벽화의 중심이 되는 <현장 스님
               의 수륙재> 그림의 오른쪽 협칸에 그려진

               그림이다. 그림의 제목은 ‘봉선군모천지

               우鳳仙郡冒天止雨’다. ‘봉선군鳳仙郡의 태수가 하
               늘을 모욕하여(冒天) 비가 오지 않게 되

               었다(止雨).’라는 뜻이다. 벽화는 손오공

               이 천상으로 올라가 옥황상제를 만나 비
               를 간청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봉선군                      【그림2. 옥황상제를 만난 손오공_이탁오본 삽화】

               의 태수가 지은 죄로 인해 봉선군에 가뭄
               이 들고 그것을 손오공이 해결해 준다는                    다. 부채를 든 두 천녀를 세우는 경우, 명

               얘기다.                                     부를 주관하는 천신(구고천존)과 인간의

               이 그림은 명대 이탁오 비평본 『서유기』                   수명을 주관하는 천신(장생대제)의 두 신
               의 삽화를 모사한 것이다. 옥황상제가 거                   을 세우는 경우, 동남과 동녀를 세우는

               주하는 영소전靈霄殿이라는 편액과 공간의                    경우, 무신(탁탑천왕)과 문신(태백금성)
               구성, 그리고 인물들의 설정이 기본적으                    을 세우는 경우, 호위 무장을 세우는 경

               로 일치한다. 특히 화면 중앙의 옥황상                    우 등이 그렇다. 요컨대 인물은 다양하지

               제와 하단에 무릎을 꿇고 있는 손오공의                    만 둘로 짝을 맞춰 세운다는 점에 있어서
               형상은 원본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옥                    는 대체로 일치한다. 이 벽화의 원본이

               황상제를 시위하는 무장들의 표현이 다                     되는 이탁오 비평본 삽화에도 두 무장이

               르고, 문관의 복장을 한 인물들의 숫자                    세워져 있다. 그런데 용화전의 벽화에는
               와 위치가 다르다. 먼저 시위하는 무장들                   시위 무장이 셋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

               의 차이가 분명하다. 용화전 벽화에는 세                   세 인물 중 오른쪽의 인물은 일산을 들고

               명의 장군이 옥황상제를 호위하는 것으                     있고, 왼쪽의 두 인물 중 하나는 칼을 들
               로 묘사되어 있는데 두 인물로 짝을 맞춘                   고 있고 다른 하나는 도끼를 들고 있다.

               원본과 다르다. 보통 옥황상제를 묘사할                    모두 무인의 복장을 하고 있으므로 호위
               경우, 좌우에 시립하는 두 인물을 배치한                   장군이다.



                                                                                           65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