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5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2월호 (Vol 519)
P. 95
서문이 실려 있는데, 그중 맨 앞에 나오
는 「원각경약초서」의 판심제만 「원각경
약초서」로 되어 있을 뿐, 그 뒤에 오는 배
휴의 「원각경약소서」 및 종밀의 「원각경
서」 등 2건의 서문은 내제와는 달리 판심
제가 「원각경서」로 되어 있다. 권1은 「진
원각경전」, 「조조관」, 「원각경약초서(思
齊)」, 「원각경약소서(裵休)」, 「원각경서
(宗密)」 등의 순으로 짐작한다.
구결 원각경 상 1의1, 2장 앞면 | 상 1의2, 7장 뒷면
권2부터 권10까지는 본문에 해당하는데,
본문은 크게 상권과 하권으로 구분되어
있고, 권차卷次는 밝히지 않아서 이용에 2가 유사한 방식이고, 본문 및 주해가 들
주의를 해야 한다. 권2부터 권6까지가 상 어 있는 권3부터 권10까지는 같은 방식
권이고, 권7부터 권10까지가 하권이다. 을 취하여 형태서지에 있어서도 차이가
각권의 내제 밑에는 ‘上○之○’ 또는 ‘下 난다.
○之○’ 등의 표시만 있을 뿐 권차 표시가
없다. 판심제는 ‘圓覺上○之○’에서 ‘之’
자를 뺀 ‘圓覺上○○’ 방식으로 표시를 했
다. 권2에는 상일지일上一之一, 권3과 권4에
는 상일지이上一之二, 권5에는 상이지일上二之一
과 상이지이上二之二가 편철되어 있다. 권6
에는 상이지이上二之二와 상이지삼上二之三이
편철되어 있는 등 권2부터 권6까지가 상
권이다. 권7에는 하일지일下一之一과 하일
지이下一之二, 권8에는 하이지일下二之一과 하
이지이下二之二가 편철되어 있다. 권9에는
김무봉 동국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
하삼지일下三之一, 권10에는 하삼지이下三之二 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동국대 국어
국문학과 교수를 지낸 후 지금은 명예교수로 있다.
가 있는 등 권7부터 권10까지가 하권이다.
한국어문학연구학회 회장, 불경언해연구회 대표 등을 지냈
이 책의 편찬 양식은 서문이 들어 있는 다. 『훈민정음, 그리고 불경 언해』, 『역주 몽산화상법어약록
언해』 등 저·역서 20여 권, 국어사 관련 논문 50여 편, 교육
권1 및 『원각경』 경전에 대해 분석한 권 정책 관련 연구보고서 10여 권이 있다.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