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월간 통도 2021년 1월호 (Vol 470)
P. 35

마음을 잘 알아야 하고 마음을 잘 알기 위해 마                           정을 없애면 목석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마음

          음을 잘 들여다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은 우주가 탄생한 이래 인류가 탄생한 이래 삶
           마음은 밑바닥이 빈 물독처럼 늘 뭔가 더 좋                            이 정교하게 다듬어져 형성되었다. 붓다는 마

          은 것을 갈구한다. 물질적 만족을 위해 몰입하                            음을 몸의 오감(눈 귀 코 혀 몸)뿐 아니라 제6 감각

          다가 어느 순간 허망함을 깨닫고 정신적인 쾌                             기관으로 이미 분류하였다. 마음은 훌륭한 도
          락을 추구한다. 그러나 그 어떤 것에서도 만족                            구이건만, 끔찍한 주인으로 호령하고 우리네

          을 얻지 못하고 마침내 영적 추구를 시작한다.                            삶을 지배하고 있다. 마음에 사로잡히지 않으
          좋은 명상법을 배우려 좋은 스승을 찾아 헤맨                             려면 마음을 부리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 으뜸

          다. 그러다가 막상 명상을 하려 해도 금방 잡념                           이 마음 바라보기이다(관심일법 총섭제행).

          에 빠지거나 졸음에 빠지면 ‘나는 명상에도 소                             마음 바라보기는 하늘 바라보듯이 한다. 하늘
          질이 없다.’고 포기한다. 그와 반대로 용맹정진                           에 한가로이 구름이 떠가고 새들이 노니는 평화

          으로 애쓰다가 명상 부작용에 시달린다. 이렇                             로운 정경. 때로 먹구름 가득했다가 비도 쏟아

          게 마음은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물질적 정신                            지지만 늘 푸른 하늘이 있는 것처럼 우리 마음
          적 불만을 없애려 굉장한 에너지를 쓰고 있다.                            도 그러함을 보라. 기쁨과 슬픔도 그렇게 오가

            마음이란 결코 없앨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며, 모든 것이 흘러 지나감을 보라. 햇살 가득한

          사실을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생각이나 감                             아침 풀밭이나 숲길을 거닐면 꽃향기와 근처 산






          35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