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4월호 (Vol 521)
P. 9
하늘의 제석천이 인간에게 주머니 두 개 쌓입니다.
를 만들어서 걸어 주었답니다. 하나는 남 그러므로 우리들은 내 마음의 허물을 보
의 허물이 들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내 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도반들이 설사 실
허물이 들어 있다고 합니다. 그 주머니를 수를 하더라도 모른 척 덮어 주는 것도
목에 걸고 늘 내 허물과 남의 허물을 동 필요합니다. 부부 사이에서나 자녀들과
시에 보라고 한 것인데, 인간들이 그걸 의 관계에서도 남의 허물을 지적할 것이
한쪽 어깨에다 잘못 걸었다고 합니다. 그 아니라 스스로 알고 깨우치도록 해 주어
래서 남의 허물 주머니는 내 앞으로 오고 야 합니다. 그리고 남의 슬픔을 덜어 주
내 허물 주머니는 등 뒤로 걸렸답니다. 고 고통을 덜어 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살아가면서 늘 앞에 있는 그것이 복을 쌓는 길입니다. 그것이 불보
남의 허물만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살님들이 살아가는 모습입니다. 불보살
그런데 내 허물을 볼 줄 아는 것이 진정 님들은 자나 깨나 중생들을 위해서 사시
한 참회입니다. 염불을 하든 참선을 하든 는 분들입니다. 우리가 그러한 불보살님
마음이 고요해지고 내 마음의 거울이 드 처럼 살아가기만 하면 그것이 복이 되고
러나면 나의 내면이 들여다보입니다. 지 행복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오늘 이
나간 내 업들이 보이고, 미세한 생각들이 자리에서 부처님 제자가 된 것이 얼마나
드러납니다. 그때 평소에 보지 못했던 내 큰 복입니까. 잠들 때 부처님을 떠올리며
허물을 볼 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잘 안 잠들고, 아침에 일어날 때 부처님을 떠올
보입니다. 그런 것들이 보이면 나도 모르 리며 일어날 수만 있다면, 그것이 진정한
게 몸서리쳐집니다. 그러나 그러한 허물 불자의 자세이고 기도하는 모습입니다.
이 보인다면 저절로 수행이 됩니다. 그것
이 진정한 참회입니다. 기도라는 것은 무 진정한 기도란, 바로 나의 내면을 들여다
언가를 바라거나 얻기를 원하는 것이 아 보는 것입니다. 항상 부처님과 같은 자애
니고 나의 내면을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로운 마음으로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그런 허물과 탐친치 삼독 번뇌를 모두 걷 내 허물을 고치며, 남의 허물은 보드랍게
어 내고 진정한 내 모습, 즉 내 부처를 친 감싸 줄 수 있는 아량 넓은 통도사 불자
견하는 그것이 진정한 참회입니다. 그렇 님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게 되면 저절로 마음에 빛이 나고 공덕이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