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월간 축산보림 2025년 3월호 (Vol 520)
P. 85

훈민정음 창제 초기에 이루어졌던 한문                     약초靈驗略抄」를 별도로 두기도 했다. 한문

               불서의 한글 번역본, 곧 언해 불서는 당                   ‘영험약초’만 둔 책도 있고, 한문 및 언해
               시 우리말 사용의 실상 및 국어의 변천                    를 연달아 배치한 책도 있다. 훈민정음

               등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초기에 대규모로 이루어졌던 언해본 불

               우리는 앞에서 한문 원전의 한글 번역에                    서 중심의 출판에서 한글 불서의 다변화
               한限하여 ‘언해’라 한다는 언술言述로, ‘언                 내지, 불자들의 수요에 호응한 방향 전환

               해의 개념’을 정리한 바 있다. 그 기준에                  이 아닐까 한다.

               따르면 범자梵字, 또는 한자로 되어 있는                   『오대진언』의 체제는 책의 성격으로 인
               진언眞言의 한글 음역音譯을 언해라고 할 수                  해 당시에 간행되었던 다른 언해본 책들

               는 없다.                                    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우철右綴로 장

               그런데 15세기에 간행된 한글 문헌 중에                   정된 책의 맨 오른쪽 행行에 진언을 범자
               는 다섯 종류의 진언을 범자梵字, 한글, 한                 로 적고, 그 왼쪽 행에 나란히 한글 음역

               자 순으로 한 행씩 나란히 배치한 책이                    자를 둔 후, 다시 그 왼쪽 행에 한자 음역
               있다. 『오대진언』(1485)이다. 「관세음보                자를 배치하는 방법을 취한 것이다. 책의

               살사십이수진언觀世音菩薩四十二首眞言」, 「신묘                 구성을 보면 3행씩 짝을 맞추어 범자, 한

               장구대다라니神妙章句大陁羅尼」, 「수구즉득다                  글, 한자 진언을 병치竝置할 수 있도록 판

               라니 随求即得陁羅尼」, 「대불정다라니大佛頂陁羅                식의 조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진언
               尼」, 「불정존승다라니佛頂尊勝陁羅尼」 등 다섯                만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3행씩 짝을 맞
               편의 진언을 모아서 한글로 음역해 놓은                    추어 배열할 수 있게 유계有界 9행으로 구

               ‘진언집眞言集’이다. 언해본은 아니지만 귀                  성했고, 상단上段에 수인도手印圖를 둔 「사

               중한 한글 불서이다.                              십이수진언」은 진언의 제목과 주註가 있
               이 책이 음역 진언집이라고 해도 진언만                    는 2행을 제외한 그 나머지 6행에 2수의

               으로 한 권의 책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의                   진언을 실을 수 있게 유계 8행으로 한 점

               미가 있고, 뒤따르는 한글 진언집들의 본                   등이 그러하다. 이러한 구성은 민중의 송
               보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습을 돕기 위함이라는 간행의 목적에 부

               이렇듯 범자 및 한자로 표기表記되어 있는                   합하는 조처라고 본다.

               진언을 한글로 옮긴 음역 진언집들이 15                   ‘진언眞言’은 ‘범문梵文’을 번역하지 않고 음音
               세기 후반부터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그대로 적어서 외우는 어구語句, 곧 주문呪

               리고 그러한 책의 뒤쪽에는 진언 송습誦                    文을 이른다. 번역을 하지 않는 이유는 원
               習의 선과善果에 해당하는 영험담인 「영험                   문 전체의 뜻이 한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



                                                                                           85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