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화) 지장재일 / 9월 15일 (월) 관음재일 / 9월 22일 (월) 초하루 / 9월 25일 (목) 문수재일

서브컨덴츠 시작

염불대학원

염불대학원 소개 및 교육안내

영축총림 통도사 염불대학원
석가여래 진신 사리를 모신 불지종가 통도사는 신라 대국통 자장율사(590~658)가 선덕여왕 15(646)년에 창건하여 금강계단을 설치하고 스님들의 근본 교육과 국민들의 정신적 귀의처로 개설하여 1천3백여 년 계승되어 온 청정 수행도랑입니다.
불지종가요 국지대찰인 통도사는 종무소를 비롯하여 선원, 율원, 강원 등을 갖춘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총림으로 그동안 총림대중의 오랜 숙원이었던 승가의식교육기관인 염불원을 개원하여 불교전통의식의 복원과 현대화, 보급을 통한 대중화라는 사명아래 이러한 의례의식을 담당할 전문 인재를 양성하게 되었습니다.
영축총림 염불대학원은 석사과정에 준하는 본과 2년 과정, 박사과정에 준하는 어산작법과 3년 과정을 개설 운영 중입니다. 통도사 범음범패 염불은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전승되어 온 영남지방 염불의 근본입니다. 각 과정의 교수 사는 영남 범패의 무형문화유산 전수자로서 전통 의례의식 작법을 체계적으로 전수 교육하는 어장(魚丈)들입니다. 염불대학원에서는 통도사 전통 염불의 근원과 전통을 전승하는 교육 연수를 통하여 전통문화를 내외에 펼칠 수준 높은 인재를 배양 발전하는 목적으로 설립한 전문교육기관입니다. 특히 통도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통도사 범음범패가 이에 걸맞은 국가와 세계무형유산으로 자리하기를 염원하는 바 많은 분들의 지원과 뜻을 함께 해주시기를 기원합니다.
통도사 염불 소리 영축산에 서리니 솔잎 피리 불고 백학이 춤을 추네.

영축총림 통도사 염불대학원
원장 법산경일 합장
교육과정
영축총림 통도사 염불대학원은 종단의 특수교육기관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본과과정 (2년)

일용의례(도량석, 종성, 각단예경, 삼보통청))
제반의식(시다림, 49재, 천도재))
불전사물(목탁, 요령, 북, 징))
작법무(바라작법, 착복무, 법고무))
의식이론 등

2. 전문어산과정(3년)

수륙재, 예수재, 영산재, 작법무, 복장, 점안의식 등

* 이 외에도 지화장엄, 괴임새등 장엄분야와 한글의식과 의식의 현대화 등은 특강 형태로 진행할 계획이며 매년 1회 이상 티벳, 대만, 중국, 일본 등 해외 사찰의식순례 일정도 가질 예정임.
* 본 대학원은 대한불교조계종 특수교육기관으로서 소정의 교육과정을 졸업한 스님에게 2년과정 졸업장과 함께 3급 승가고시 응시 교육이수경력을 부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