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월간 통도 2020년 8월호 (Vol 465)
P. 10
magazine TONGDO 금강보좌자수방석 봉안
신비롭고 설법전 불단의 공간에 적합한 높이와 기존의 방석
과 비율을 감안하여 2단 방석을 올리기로 하고, 방석
상서로운 기운이
에 들어갈 문양들을 각각 구성하였다.
사리탑을 감싸다 방석의 모양에는 앙련仰蓮과 복련伏蓮 연꽃문양
설법전 금강보좌자수방석 불사 회향 을 넣었다. 금사金絲와 색사色絲를 혼합하여 선명
하고 무게감이 있는 색상과 굵직한 연잎 모양을
통도사박물관장 송천 스님
조합하여 예배자로 하여금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는 시각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3단 방석 문양은 신비스럽고 상서로운 기운이
사리탑을 감싸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였고, 좌우
에는 창건설화에 나오는 청룡과 황룡을 배치하여
통도사에서 가장 큰 법당인 설법전에 자수刺繡 사리탑 수호의 의미를 더하였다. 사적기와 옛 기
로 조성한 금강보좌방석金剛寶座方席을 경자년庚子 록에 남아 있는 부처님 사리에 대한 영험함을 시
年 백중기도 입재일인 7월 16일에 봉안하였다. 각적으로 담아내려고 하였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통도사는 적멸보궁으로서 불상을 모시지 않는 기도와 수행에 긍정적인 힘이 될 수 있다는 내용
다. 이를 대신하여 사리탑을 중심으로 대웅전과 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고자 하였다.
설법전 수미단(불단)에는 향로와 다기 및 불기佛器 2단 방석 문양은 법륜法輪을 좌우로 배치하였다.
를 중심에 두고 조석朝夕으로 예배를 올리고 있다. 상단이 부처님의 현신現身이라면 아랫단은 부처
설법전 수미단에는 20년 전에 조성한 연화문자수 님 말씀이 수레바퀴처럼 굴러가듯이 쉼 없이 설
방석이 있는데 법당 내부 장엄에 비하여 부족한 해지고 중생을 교화한다는 것을 상징화한 것이
측면이 있다. 사격에 맞는 성보물聖寶物을 봉안하 다. 상ㆍ중단의 방석이 만들어지면서 설법전이 전
기 위한 본사 주지 스님과 부주지 산옹 스님의 공 법의 공간으로서 역사와 원력이 만나 한층 더 품
감대가 이루어졌고, 지난해 8월 방석 불사를 시작 격을 갖춘 불단 장엄이 되도록 조성의 의미를 부
하여 지금에 이르렀다. 여하였다.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