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교리
제행무상 (諸行無常) |
---|
![]()
세상의 모든 것이 변한다는 뜻이다.
제행무상은 모든 존재의 속성이 항상 그대로 있지 않고 변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차분히 모든 사물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자신이 헛된 욕망에 사로잡혀 있었음을깨닫게 된다. 이 잘못된 생각이 바로 전도몽상이다. 모든 것이 영원할 것이라는잘못된 믿음을 버릴 때,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고, 그 속에서 바르게사는 길을 알게 된다. |
제법무아 (諸法無我) |
---|
![]()
모든 변화는 것에는 자아라는 실체가 없다는 무아의 가르침이다.
모든 것은 항상 변하기 때문에, 즉 인연 따라 생긴 것은 인연이 다하면 흩어지기때문에 고정불변의 실체란 없다. 무아의 가르침은 우리에게 자기중심적 사고와 아집이 허망한 것임을 일깨워준다. |
일체개고 (一切皆苦) |
---|
![]()
변하는 모든 것은 괴로움이라는 것이다.
즉 무상하기 때문에 괴롭다는 것이다. 세상사는 희로애락이 다 있어괴로움만 있는 것이 아닌데, 왜 모든 것을 고통이라고 하는가? 그것은 기쁨과 즐거움은 일시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영원할 것이라고 믿고 그것에 집착하기 때문에 고통스럽다는 것이다. 모든 것은 변하므로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다. 기쁨과 즐거움도마찬가지다. ※ 열반적정 : 모든 번뇌 망상이 잠자고 오직 평화와 고요함이 깃든 경지라는 말 |
사성제 (四聖諦) |
---|
![]()
괴로움과 괴로움의 원인과 괴로움의 소멸과 괴로움의 소멸방법에 대한가르침이다. 이를 줄여서 고(苦) · 집(集) · 멸(滅) · 도(道) 의 네 가지 진리로 구성되어 있다.
-고성제:불완전하고 더러움과 고통으로 가득차 있는 현실을 바르게 보는 것이다. -집성제:사물이 모여 일어나기 위한 원인이므로 고의 원인이나 이유라는 뜻이다. -멸성제:깨달음의 목표 , 곧 이상향인 열반의 세계를 가리킨다. -도성제:이상향인 열반에 도달하는 원인으로서의 수행방법이며, 구체적으로팔정도라는 여덟가지 수행법을 제시하고 있다. |
팔정도 (八正道) |
---|
![]()
중생이 고통의 원인인 탐(貪) · 진(瞋) · 치(痴) 를 없애고 해탈하여 깨달음의경지인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천 수행해야 하는 8가지 길
1.정견(正見):올바로 보는 것(편견 없이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 2.정사(正思) :올바로 생각하는 것(바른 생각). 3.정어(正語):올바로 말하는 것(바른 말). 4.정업(正業):올바로 행동하는 것(바른 행동). 5.정명(正命):올바로 생활하는 것(바른 생활). 6.정근(正勤):올바로 부지런히 노력하는 것(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쉼 없는 노력) 7.정념(正念):올바로 기억하고 생각하는 것(바른 마음챙김 , 바른 마음 집중) 8.정정(正定):올바로 마음을 안정하는 것. (바른 선정) |
중도(中道) |
---|
![]()
불교에서 밝힌 참다운 수행의 길.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는 중정의 도쉽게 말해서 어느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유 와 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고와 낙의 양쪽을떠난 올바른 행법을 가르친다. 부처님의 초전법륜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그릇된 견해나 극단의견해를 떠난 바른 견해와 실천을 제시하여 올바른삶을 살도록 하는 중요한가르침이다. |